"수레바퀴 아래서"는 헤르만 헤세가 1906년에 발표한 소설로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권위적이고 강압적인 교육제도와 획일적인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신학교 입학을 강요받아 살면서 자신의 원하는 것을 버리고 살다가 결국 삶의 목적을 잃게 되는 소년의 이야기로 주인공 소년은 헤르만 헤세의 분신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오늘의 젊은이들의 자화상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수레바퀴 아래서 주요 인물
- 한스 기벤라트 : 소설의 주인공으로 수줍고 여린 성격을 가진 낚시를 좋아하는 소년입니다 공부에 재능이 많았지만 신학교에 입학하면서 삶의 방향을 잃고 고통과 좌절에 빠집니다.
- 헤르만 하일러 : 한스의 친구이자 자유분방하며 반항적인 소년으로 문학에 재능이 있습니다. 교장선생과 대립하다가 결국 신학교를 떠나고 한스에게 자유와 창의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인물입니다.
- 플라이크 : 고향 마을의 구둣방 주인이자 기독교인으로 뛰어난 학생도 시험에 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니 만일 그런 일이 생긴다 해도 창피한 일은 아니라고 이야기해 준 유일한 어른입니다. 어른들의 욕심 때문에 공부에 시달리는 한스를 유일하게 걱정한 어른입니다.
- 요제프 기벤라트 : 한스의 아버지로 상인이며 명예욕이 강한 사람입니다. 한스에게 신학교에 입학하도록 강요한 뒤 한스의 죽음에도 무관심합니다.
- 교장선생 - 한스에게 공부를 강요하고 권위적이며 위선적인 태도를 보이는 인물입니다. 한스의 죽음에 대해서도 아무런 죄의식을 느끼지 못합니다.
- 아우구스트 : 한스의 친구로 고향의 학교를 졸업한 후 시계 부품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본인의 의지로 삶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한스와 대비되며 의리가 있고 친구들을 돕는 인물입니다.
- 목사 : 동네의 개신교 목사로, 지식은 없지만 인간미가 있는 구둣방 주인 플라이크와 대비되는 인물입니다.
- 엠마 : 한스가 고향으로 돌아온 뒤 만나게 된 소녀입니다. 한스는 그녀를 사랑했지만 그녀는 진심으로 그를 사랑하지 않았으며 인사도 없이 떠나버려 한스에게 상처를 줍니다.
수레바퀴 아래서 줄거리
한스 기벤라트는 총명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소년입니다, 하지만 그가 공부에 재능이 있는 것을 알고 아버지와 교장선생의 강요로 기숙 신학교에 입학하게 됩니다. 하지만 내성적이며 마음이 여린 한스는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시간표대로 생활해야 하는 신학교의 엄격하고 강압적인 분위기에 적응을 못하며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잃게 됩니다.
게다가 신학교에서의 유일하게 의지했던 친구를 억압적인 교칙 때문에 잃게 되자 건강마저 나빠져 결국 고향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고향으로 돌아온 한스는 시계부품공장의 수습공이 되지만 공장생활에도 적응하지 못하고 마을사람들은 그를 "신학교 대장장이"라고 비난에도 큰 상처를 입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공장의 동료들과 술을 마시고 헤어진 후 강가를 걷기가 물에 빠져 한스는 자살인지 사고인지 모를 의문의 죽음을 맞이합니다.
한스의 장례식장에서 구둣방 주인 플라이크는 교장선생과 교사들을 가리켜 "한스를 죽인 공범"이라고 비난합니다.
수레바퀴 아래서 감상평
이 소설의 배경인 19세기말 당시 독일의 교육은 매우 강압적이고 권위적이어서 자살하는 청소년들이 많아서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어찌 보면 청소년 자살률이 높은 현재의 우리나라의 교육환경과도 조금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이 소설은 인간의 창의성과 의지를 짓밟는 교육과 사회에 대한 비판을 통해 인간의 본질과 인간성을 되찾으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성장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스가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지 못한 것에 대한 슬픔을 표현합니다.
우리 모두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자유를 지키고 또 자신의 삶에 대해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읽는 명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읽는 명작 - 구운몽, 김만중 (0) | 2023.12.21 |
---|---|
다시 읽는 명작 - 세일즈맨의 죽음,아서 밀러 (0) | 2023.12.21 |
다시 읽는 명작 -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0) | 2023.12.18 |
다시 읽는 명작 - 주홍 글씨, 나대니얼 호손 (0) | 2023.12.17 |
다시 읽는 명작 - 달과 6펜스, 윌리엄 서머셋 몸 (0) | 2023.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