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은 메리 셸리가 1818년에 런던에 익명으로 출판되었다가 1831년에야 그녀의 이름으로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습니다. 프랑켄슈타인이 괴물의 이름이 아니라 원래 괴물을 만든 과학자의 이름이라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언젠가부터 프랑켄슈타인을 괴물이름으로 생각하는 게 기정사실처럼 된 점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과학실험으로 만들어진 괴물의 이야기지만 그 이면의 불쌍하고 외로운 면이 현대인에게 주는 감동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프랑켄슈타인의 작가와 작품에 대하여
메리 셸리, 그녀는 놀랍게도 이 프랑켄슈타인을 18세인 1816년부터 쓰기 시작하여 1818년에 처음 출판하였습니다.
그녀는 1816년 여름에 스위스의 제네바 호수 근처에 있는 빌라에서 언니 클레어, 남편이 되는 퍼시 셸리와 그의 친구인 시인 로드 바이런, 그의 의사 존 폴리도리와 함께 머물렀는데 그해는 화산 폭발로 전 세계적으로 기온이 낮아져 "해가 없는 해"라고 불리었습니다. 날씨가 나빠 나갈 수 없게 된 그들은 모여서 무서운 이야기를 나누기로 하였는데 이때 메리는 꿈에서 본 장면인 창백한 얼굴의 과학자가 실험을 통해 만든 괴물옆에 무릎을 꿇은 모습을 바탕으로 초안을 쓰게 됩니다.
이 프랑켄슈타인은 세계최초의 과학 소설이자 고전 소설로 인정받고 있지만 출간 당시에는 평론가들의 주목을 받은 것은 아닙니다. 공포문학이 폄하되는 시기였기도 했고 기괴하고 반사회적인 문학으로 많은 악평을 받았으며 더구나 작가가 20살이 안된 것이 밝혀졌을 때는 어린 여자의 병적인 상상력에서 나온 산물이라는 비난까지 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상업적으로는 수백만권이 팔린 성공한 작품으로 남았고 현재까지 많은 뮤지컬, 영화, 게임등 다양한 문화매체로 재구성되고 있습니다.
프랑켄슈타인의 줄거리
프랑켄슈타인은 편지형식으로 쓰여진 이야기로 이 편지들을 모아 발간한 것이라는 설정입니다.
로버트 월튼이라는 북극 탐험가는 조난당한 것으로 보이는 사람을 발견하고 구조합니다. 이 조난자가 바로 빅터 프랑켄슈타인, 창조물을 만든 과학자이며 , 월튼과 빅터는 서로에게 호의를 가지고 형제처럼 지내게 됩니다.
어느날 빅터는 자신을 닮은 월튼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월튼은 그 과학자의 이야기를 그의 누이에게 전해주기위해 편지를 쓰고, 이 편지로 발간된 것이 소설이라는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인간을 만들고 싶은 열망으로 죽은 시체를 이용하여 인간과 비슷한 생명체를 창조합니다. 하지만 그의 창조물은 흉측하고 무섭게 생겼으며, 빅터는 결국 그를 버리고 도망칩니다. 창조물은 세상에 홀로 남겨진 채 고통과 외로움을 겪으며 결국 자신을 만든 빅터에게 복수하기로 결심합니다. 빅터와 창조물은 쫓고 쫓기는 사이에서 서로의 삶을 파괴하고 결국 비극적인 죽음을 맞게 됩니다.
프랑켄슈타인의 주요 인물
- 빅터 프랑켄슈타인 :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과학자로 결국 생명체를 창조하나 그 창조물을 버리고, 그로 인해 가족과 친구들을 잃게 됩니다.
- 창조물 : 빅터가 만든 인간과 비슷한 생명체, 자신을 버린 빅터에게 복수하고 인간의 사랑과 존중을 갈망합니다.
- 엘리자베스 라벤자 : 빅터의 사촌이며 프랑켄슈타인가로 입양되어 함께 성장한 빅터와 사랑하는 사이가 되어 결혼하지만 결국 빅터의 창조물에의해 살해당합니다.
- 알폰스 프랑켄슈타인 : 빅터의 아버지인 제네바 명문가 출신으로 명망높은 인물, 빅터의 연인이었던 엘리자베스가 창조물에게 살해당한 것에 큰 충격을 받아 사망합니다.
- 헨리 클레르발 : 빅터의 헌신적인 친구로 창조물의 반려를 만드려는 빅터의 계획을 모른 채 여행을 떠나지만 빅터에게 복수하려는 창조물에게 살해당합니다.
- 저스틴 모리츠 : 프랑켄슈타인가에서 윌리엄의 양육을 맡은 유모이지만 윌리엄이 창조물에 살해당한 후 살인범으로 몰려 처형당합니다.
- 로버트 월튼 : 이야기의 화자로 창조물을 쫒던 빅터의 이야기를 듣고 이 기괴한 이야기를 누이에게 보내는 편지로 기록합니다. 창조물의 외모를 보고 혐오스러워하지도 무서워하지도 않으며 대한 인물입니다.
'다시읽는 명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읽는 명작 - 빨강 머리 앤, 루시 모드 몽고메리 (0) | 2023.12.11 |
---|---|
다시 읽는 명작 - 소원을 비는 나무, 윌리엄 포크너 (0) | 2023.12.10 |
다시 읽는 명작 - 개미, 베르나르 베르베르 (0) | 2023.12.09 |
다시 읽는 명작 - 나니아 연대기, C.S.루이스 (0) | 2023.12.08 |
다시 읽는 명작 - 어린 왕자 ,생 텍쥐페리 (0) | 2023.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