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설은 2012년에 출간되어 미국에서는 10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로 암에 걸린 소녀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입니다. 작가는 미국의 젊은 스타작가로 청소년소설을 주로 집필하며 프린츠상과 에드거상등 여러 상을 수상한 베스트셀러 작가입니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등장인물
- 헤이즐 그레이스 랭커스터 : 소설의 주인공인 16세의 소녀로 갑상선암 말기 환자입니다. 폐까지 암이 전이되어 산소호흡기를 항상 착용해야하며 주기적으로 폐의 물을 빼주어야만 하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책과 영화를 좋아하해서 반 호텐의 "장엄의 고뇌"이란 책에 열광합니다.
- 어거스터스 워터스 : 골육종으로 인해 한쪽다리를 절단한 소년으로 헤이즐과 같은 암 환우 모임에 가서 헤이즐을 알게되고 한눈에 반하게 됩니다. 비디오 게임과 음악을 좋아하며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어 하는 소년입니다.
- 아이작 : 어릴때 안암으로 한쪽 눈을 적출했으며 다시 암이 재발하여 남은 눈마저 적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어거스터스와 친구가 된 후로 헤이즐과도 친해집니다. 모니카라는 여자친구가 있었지만 남은 눈마저 적출해야 하는 상황을 알고 모니카는 떠나버립니다.
- 리디아 : 헤이즐의 어머니로 헤이즐에게 암 환우 모임에 참여하도록 권고하며 헤이즐을 위해 많은 희생을 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자격을 따려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 미스터 랭커스터 : 헤이즐의 아버지로 그녀를 사랑하고 걱정합니다. 헤이즐이 암스테르담에 갈때 함께 가며 감정적이고 마음 약한 성격입니다.
- 피터 반 호텐 : "장엄의 고뇌"의 작가로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에 거주합니다. 헤이즐과 어거스터스가 그를 만나려고 방문하지만 무례하고 무관심한 태도로 대합니다.
- 리더비히 블리헨타르트 : 피터 반 호텐의 비서로 붉은 머리의 젊은 여자입니다. 그를 싫어하면서도 한편으론 불쌍하게 여기기도 합니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줄거리
소녀 헤이즐은 13살에 갑상선 말기암을 진단받아 다양한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암은 폐로 전이되어 폐에 물이 차오르는 상황까지 되었으나 간신히 살아난 후 실험 약품 중 하나인 "팔란 키포"의 임상대상이 됩니다. 다행히도 이 약품이 헤이즐에게는 효과가 있어서 산소 호흡기를 달고 폐의 물을 주기적으로 빼내주어야 하지만 그래도 16세까지 살아남았습니다.
이야기의 시작은 헤이즐의 어머니는 늘 딸이 집에만 있는 것을 걱정하여 교회에서 열리는 암 환우모임에 나가보도록 권유합니다. 헤이즐은 그곳에서 마호가니색의 머리카락을 지닌 어거스터스 워터스를 알게됩니다. 교회에서 모임이 끝난 후 서로 대화를 나누며 헤이즐은 그에게 호감을 느끼고 어느 날 어거스터스의 초대로 그의 집을 방문할 때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장엄의 고뇌"를 추천하고 어거스터스는 "새벽의 대가"라는 책을 받고 서로 책을 읽고 난 후 연락하기로 약속합니다.
"장엄의 고뇌"는 네덜란드계 미국인 작가의 소설로 암에 걸린 사춘기 소녀 "안나"가 주인공으로 헤이즐은 마치 자신이 안나인것처럼 이 책을 좋아하며 소설의 이후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어거스터스는 작가에게 소설의 이후에 대해 묻는 메일을 보내고 작가는 네덜란드에 직접 온다면 말해줄 수 있다는 답장을 보냅니다. 어거스터스와 헤이즐은 작가를 만나 이야기를 듣기 위해 함께 암스테르담으로 여행을 갑니다. 하지만 작가의 반응은 무례하며 폭언을 퍼붓습니다.
결국 네덜란드에서 돌아온 후 어거스터스의 암이 재발하고 그는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어거스터스의 장례식에서 그가 남긴 편지를 읽고 그의 사랑에 감사하며 살아가기로 결심합니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를 읽고
소설에는 죽음과 사랑, 운명과 선택등 여러 가지 질문을 하고 있습니다.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한 어린 주인공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서로에게 소중한 행복을 선사하는 모습을 보고 우리의 삶의 가치는 우리의 선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비단 병에 걸린 게 아니더라도 우리의 삶은 짧고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 안에서 무한한 가능성과 아름다움을 발견하려고 노력하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시읽는 명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읽는 명작 - 원더, R.J.팔라시오 (0) | 2024.01.01 |
---|---|
다시 읽는 명작 - 더 기버/기억의 전달자, 로이스 로리 (0) | 2023.12.31 |
다시 읽는 명작 - 시간의 주름, 매들랜 렝글 (0) | 2023.12.28 |
다시 읽는 명작 - 책 도둑, 마커스 주삭 (0) | 2023.12.27 |
다시 읽는 명작 - 비밀의 화원,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 (0) | 2023.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