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시읽는 명작

다시 읽는 명작 - 호밀밭의 파수꾼,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by bluemorningstar 2024. 1. 9.
반응형

1919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대표작 "호밀밭의 파수꾼"은 1951년 출판되어 전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킨 작품입니다. 작가는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심리적인 고통을 겪었고 이후 스스로 고립된 삶을 살며 소수의 작품만 발표하며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가에 대하여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설을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여러 학교를 다니며 학업에 흥미를 잃고 결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를 중퇴하고 1942년 육군에 입대하여 유럽전쟁에 참여합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불벤 공백전, 호프텐 포로수용소 해방 등에 참전하고 전쟁에서 목격한 잔혹한 장면들은 그에게 깊은 상처를 남겨 전쟁 후 스트레스장애에 시달렸습니다. 전쟁 중에도 늘 소설을 쓰고 1948년에는 "반죽을 만드는 날"이라는 단편소설을 발표하고 이것이 홀든 콜필드라는 인물이 처음 소개된 작품이며 이후에도 홀든 콜필드를 주인공으로 여러 단편을 쓰고 이를 토대로 호밀밭의 파수꾼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등장인물

- 홀든 콜필드 : 소설의 주인공으로 16세의 키가 매우 크고 마른 소년으로 아버지가 기업 상대 변호사인 상류층 가정의 차남입니다. 영어를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낙제하여 펜시 고등학교에서 퇴학을 당하지만 부모님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은 채 뉴욕에서 혼자 3일을 보내며 겨울방학이 시작되면 집으로 돌아가려고 결심합니다. 주변의 모든 사람들을 가짜, 위선자라고 비판하면서도 진실하고 순수한 사람을 찾고자 노력합니다. 좋아하는 사람은 오직 자신의 여동생 피비, 첫사랑 제인, 죽은 남동생 앨리, 아톨리니 선생정도뿐이지만 변하지 않는 것을 좋아하는 삐딱하지만 순수한 소년입니다.

- D.B. 콜필드 : 콜필드가의 장남으로 할리우드의 영화 시나리오를 쓰고 있는 작가입니다. 2차 세계대전에 운전병으로 참전한 적이 있지만 군대에 대해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진 않으며 홀든의 시선으로는 "글을 잘 쓰지만 돈 되는 글만 쓰는 위선자:로 생각되는 인물입니다.

- 앨리 콜필드 : 홀든의 남동생으로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납니다. 홀든이 매우 아끼는 동생으로 앨리가 죽은 날 차고 유리를 주먹으로 깬 후 홀든은 그 상처로 인해 주먹이 쥐어지지 않습니다.

- 피비 콜필드 : 홀든의 여동생으로 홀든이 좋아하는 많지 않은 사람 중 한 명입니다. 붉은 머리의 똑똑한 여자아이로 홀든을 좋아해서 용돈을 전부 주기도 하고 부모님께 홀든을 위해 거짓말을 하기도 하며 홀든을 따라 가출까지 하려고 하는 귀여운 아이입니다.

- 제인 : 한동네 사는 여자아이로 제인의 개로 인해 홀든과 친구가 됩니다. 제인의 집에서 체커를 두다 의붓아버지로 인해 제인은 참던 눈물을 흘리고 홀든은 이런 제인을 위로하며 연인사이가 됩니다.

- 아톨리니 선생님 : 홀든이 다녔던 학교의 선생님으로 홀든이 좋아하는 사람 중 한 명입니다.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던 학생이 투신자살을 하자 시신을 안고 병원에 간다던지, 홀든에게 언제라도 좋으니 상담하러 와도 좋다고 한다던지 하는 행동으로 홀든이 의지하지만 어느 날 홀든이 자고 있을 때에 선생님의 행동으로 가장 신뢰하는 어른에게 뜻하지 않은 일을 겪어 수치심과 충격을 느낍니다.

감상

이 소설은 십 대의 불안과 갈등, 성장의 어려움을 다룬 것으로 왜 영미권에서 이 책을 필수도서로 정했는지 이해가 되었습니다. 이 책이 출간되고 많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콜필드신드롬"이 유행했다고 하는데 이는 주인공 홀든 콜필드처럼 위선적인 사회에 저항하고 본연의 가치와 순수를 찾으려는 청소년들의 노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발간된 지 7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스테디셀러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 같습니다.

작가는 홀든 콜필드라는 캐릭터를 통해 자신의 전쟁 경험과 사회에 대한 비판을 표현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미국의 소비주의와 자본주의, 가족과 교육의 문제, 성과 사랑의 차이, 순수함과 타락함의 대립등을 다양한 상황과 대화를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홀든을 통해 성인들의 세상에 적을 하지 못하고 자신만의 가치관을 고수하면서도 외로움과 공허함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주고 현대인의 삶의 의미와 방향을 질문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