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나 공공기관에서 보유한 시설에서 청년들의 맞춤 예식공간을 제공해 왔는데 그에 더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내장산 국립공원 단풍 생태공원, 세종 호수공원등, 전국의 국립공원, 박물관등의 48곳을 추가하여 청년들의 결혼식 공간으로 제공합니다.
그러면 박물관, 국립공원에서 결혼식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규로 추가된 48 장소
아래의 표에서 보이는대로 중앙박물관을 포함하는 5곳의 박물관과 도서관, 그리고 10개소의 국립공원, 공공기관 21개소,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호수공원, 중앙공원, 수목원, 공연장 12개소를 포함합니다.

공공 예식공간 예시
- 국립중앙박물관 전통마당 - 대관비가 없는 큰 장점은 물론이고 박물관내의 식당을 이용할 수 있어서 멀리서 온 친지,친구들에게 식사를 대접할 수 있는 것도 다른 곳과 차별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내장산 국립공원 단풍 생태공원 - 예쁘기로 소문난 내장산, 단풍생태공원의 잔디밭에서의 결혼식은 초록초록한 풀밭 배경은 소중한 결혼식의 예쁜 사진을 남길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장시간 이용할 수 있어서 더욱 좋습니다. 단풍시즌인 가을에는 미리미리 예약하셔야겠습니다.

공공 예식공간 이용하는 방법
예비부부들이 공공 예식공간을 이용하려면 먼저, "공유 누리"누리집으로 들어가 예약과 예식공간 테마지도 서비스를 찾아봅니다. 아래의 홈페이지로 가면 바로 " 우리 마을 예식공간"으로 이동합니다.
1. 공유 누리집에서 아래처럼 "우리마을 예식장소 대관"을 클릭하면 바로 예식공간의 장소 및 위치, 주차장 서비스가 나옵니다.

2. 아래의 예시처럼 장소를 검색하면 "일산 호수공원" 이 나오고, 주차장, 전기차 충전소 정보까지 함께 찾아볼 수 있습니다.

3. 고양 호수공원을 클리가면 아래와 같이 일산 호수공원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일산 호수공원의 경우, 예식은 9시~5시까지 1회예식의 시간은 3시간으로 정해져 있으며 누구나 접수할 수 있지만 고양시민은 우선접수 가능합니다. 이처럼 본인의 거주지는 우선적으로 예약이 가능하니 거주지위주로 알아보는 게 좋을 듯합니다.
예식 일자 30일전부터 사전접수 가능하며 사용료는 무료입니다.


공공 예식공간 비용
공간에 따라 무료대관할 수 있는 곳부터 일정요금을 부과하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 정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장소이다 보니 예식장에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저렴한 비용으로 예식을 올릴 수 있으니 잘 살펴보시고 알뜰살뜰 또 특별한 결혼식을 올리게 되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 쉽게 잡는 앱 정보 총정리 (0) | 2024.07.29 |
---|---|
쓰레기 분리수거 방법 총정리 폐가전 무상수거 방법 (0) | 2024.07.23 |
지진발생시 행동요령과 유용한 재난 앱 ‘ 안전디딤돌 ‘ (0) | 2024.06.14 |
2024 장마기간 6월7월 날씨전망, 장마철 꼭 필요한 아이템 (0) | 2024.06.07 |
보건소 무료 이용 꿀팁 (0) | 2024.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