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항목에 대해 진료비의 전액을 환자가 부담하는 것을 비급여진료비라고 하는데요.
이 같은 비급여진료비는 병원이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기 때문에 병원마다 차이가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진료비가 병원마다 다르기때문에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10~30% 정도의 비용을 더 내는 경우가 빈번하니 이제부터는 비급여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진료비를 먼저 확인한 후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그럼 비급여진료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급여진료비 확인하는 방법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엡사이트 이용하기
- 진료비 확인 서비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비급여 진료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당 웹사이트에서 진료비계산서와 영수증을 통해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진료비 사전확인 : 최근 3년간의 진료비 심사내역을 통해 환불가능성을 점검할 수 있으며 필요시 진료비 세부내역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2. 모바일 앱 활용하기
- 모바일앱 다운로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모바일 앱을 설치하여 QR코드를 스캔하면 비급여진료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앱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전화 및 우편요청하기
- 전화 문의: 직접 전화(1644-2000)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문의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빠르게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우편/FAX 요청: 필요 서류를 준비하여 우편이나 FAX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보내면 비급여진료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우편 주소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혁신로 60입니다.
4. 병원 직접 문의하기
- 병원에 직접 문의하여 비급여진료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비급여진료비 확인할 때 필요한 서류
비급여진료비 확인을 위해서는 몇 가지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 진료비 계산서 / 영수증 - 본인의 지불한 진료비를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 진료비 (약제비) 납입확인서 - 약제비를 포함한 진료비 납입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 동의서 - 환자가 성인이면 본인의 서명, 미성년인 경우 법정대리인의 서명이 있는 동의서가 필요합니다.
- 가족관계확인 서류 - 환자 본인이 아닌 가족이 요청하는 경우 가족관계를 증명하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동일 건강보험증에 등재된 경우는 면제될 수 있습니다.
비급여진료비 환불 가능성 확인 방법
- 최근 3년간 진료비 확인 심사내역 조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자신의 진료비 심사내욕을 통해 환불가능성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 진료비 세부내역서 요청 : 의료기관에서 발급받는 세부내역서로 비급여 항목이 급여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의 및 요청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피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온라인으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을 통해 QR코드를 스캔하여 비급여진료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화문의 : 1644-2000
필요 서류를 준비하여 우편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보내면 비급여진료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우편 주소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혁신로 60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상한제 사후 환급금 신청하기 - 1인당 평균 131만원 혜택?
상한제 사후환급이란 연간 환자가 지불한 본인부담 상한액을 설정하여 1년간 본인이 지불한 병원비가 개인별 상한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금을 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하여 가입자에게 돌
bluemorningstar.tistory.com
산정특례대상자 혜택, 신청, 연장 총정리
우리가 매달 내는 국민 건강보험에 "산정특례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질병에 걸리면 고통뿐 아니라 많은 치료비가 큰 부담이 되는데요, 이런 중증질환으로 치료받는 환자가 부담하는 진료비
bluemorningstar.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