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의 납입금액에서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부과되는 15.4%의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비과세혜택까지 적용되므로 해당하는 19세~34세의 청년이라면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상품입니다. 그럼 신청기간과 신청자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하시려면 아래의 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로 가주세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들이 재정적 자립을 위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만기5년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제공되어 청년들이 보다 쉽게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인 상품입니다.
- 가입기간 : 60개월
- 가입자격 : 19세 ~ 34세 청년
- 납입금액 : 1천원~ 70만 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
- 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
- 만기 시 정부기여금, 이자소득 그리고 비과세혜택 제공
- 금리는 취급기간 자율결정이며 3년 고정, 2년 변동입니다.
3월 신청 가입자 신청일정
- 신청 기간: 2025년 2월 22일(목)부터 3월 8일(금)까지
- 계좌 개설 가능 기간:
- 2월 22일~2월 29일 신청자: 3월 18일(월)~3월 29일(금)
- 3월 4일~3월 8일 신청자: 3월 25일(월)~4월 5일(금)
소득기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여야 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250%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250%) |
1인 가구 | 5,980,032원 |
2인 가구 | 9,832,185원 |
3인 가구 | 12,563,384원 |
4인 가구 | 15,244,433원 |
5인가구 | 17,770,480원 |
6인 가구 | 20,161,013원 |
2025년 기여금 지원 확대
2025년에는 기여금이 소득 수준에 따라 월 21,000원~ 33,000원으로 확대되었으며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전부 지급하여 연 최대 9.54$+%의 적금상품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장점
- 정부 기여금 지원: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의 소득 및 납입금액에 따라 매월 최대 6%의 정부 기여금을 지급합니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2,400만 원인 청년이 매월 40만 원을 저축하면 6%의 기여금으로 매달 최대 2만 4천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 비과세 혜택: 이 계좌에 납입한 금액과 이자 소득, 정부 기여금 모두 비과세 혜택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융 상품의 이자 소득에는 15.4%의 세금이 부과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이러한 세금을 면제받아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유연한 납입 구조: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최소 납입금액은 1천 원입니다. 따라서 개인의 재정 상황에 맞춰 납입 금액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습니다.
- 중장기 자산 형성: 만기 기간이 5년으로 설정되어 있어, 장기적인 자산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저축하고 정부의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저소득층 우대금리: 특정 소득 기준 이하의 저소득층 청년들에게는 우대금리가 제공되어 더 유리한 조건으로 저축할 수 있습니다.
- 재가입 가능성: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가 가능하며, 일정한 사유(예: 주택 구입 등)로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및 지원금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금리 확인
금리는 취급 기관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되므로 아래의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결론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재정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상품이며 도중에 납입하지 않아도 계좌 유지가 되는 좋은 상품입니다. 가입자격이 되는 청년이라면 반드시 해당 기간 내에 신청하여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